티스토리 뷰

정보

상속세 신고기간 언제까지?

진달리 2019. 2. 6. 16:16

상속세란 유산을 대상으로 하여 평가하는 세금종류입니다. 무상으로 이전되는 상속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제도이며 꼭 신고해야하는 세금 중 하나입니다.




상속세를 내야하는것은 상속인입니다. 피상속인이 사망하고 난 뒤 상속을 받게 되고 그 이후에 상속세 계산을 통해서 납부하게 됩니다. 평가는 금액에 따라서 비율이 달라지게 되며 과세표준이 커질 수록 세율이 커지며 누진공제 제도입니다.




상속세 신고기간


상속세를 신고하는 기간은 피상속자가 사망한 날짜를 시작으로 하여 6개월 안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신고는 상속인이 해야 하며 만일 신고를 종료하는 날짜가 주말이나 공휴일이라면 그 다음날을 종료일로 합니다. 




피상속자나 상속인들 전원이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해외거주자라면 신고기간을 삼개월을 더 연장해서 사망날짜로부터 9개월 안에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신고는 피상속인 주소의 관할세무서에서 신고하면 됩니다. 만약에 주소를 모른다면 주상속인 주소로 하여 그 세무서에서 신고하면 됩니다.



필요한 서류로는 상속세 과세표준신고와 자진납부계싼서와 상속재산명세서 그리고 평가명세서가 필요합니다. 상속세가 천만원을 넘게되면 2개월로 분납해서 납부 가 가능하고 천만원 미만이라면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해당기간에 납부를 하게 되면 10%는 할인받아서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상속세 신고기간안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일반무신고가산세를 물어야 하며 신고를 부정적으로 하게 될 경우는 부정무신고가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상 상속세 신고기간에 대해 말해보았습니다. 기간꼭 지켜서 성실납부 하세요.





댓글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