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의 마지막달인 12월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0년 건강보험요율 보험료 인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2020년에 적용되는 건강보험요율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직장인이다보니 매달 내는 4대보험 중 하나인 건강보험요율이 얼마정도로 인상되는지 굉장히 궁금했습니다.
▶2020년 건강보험요율 보험료 인상 얼마나?
우선 2019년도의 건강보험요율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년도의 건강보험요율은 전체 6.46%의 비중으로 납부를 하고 있었습니다. 급여가 100만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건강보험료를 6460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본인이 모두 부담하는것이 아니며 근로자와 회사가 각각 50%씩 부담하면 되는 구조였습니다.
그래서 건강보험요율이 6.46%일 때 근로자는 3.23%를 부담하고 회사도 3.23%을 부담하게 됩니다. 100만원의 건강 보험료가 64600원이라면 근로자, 회사 각각 32,300원씩 납부하면 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이에 장기요양보험도 있는데 이는 건강보험료의 8.51%를 납부하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변경되는 2020년 건강보험요율은 얼마이며 보험료 인상은 얼마나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건강보험요율은 6.67%로 인상되었습니다. 2019년 6.46% -> 6.67%로 약 0.21% 인상되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2020년 건강보험요율 근로자와 회사는 각각 3.335%를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매년 인상되는 부분이라서 어느정도 생각은 했지만 동결은 기대하지 않았던 부분이라 인상도 이정도면 적은편이라고 위안을 삼고 있습니다.
2020년 건강보험요율이 인상됨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도 인상이되었습니다. 장기요양보험은 8.51%에서 10.25%로 인상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회사와 근로자가 각각부담해야 하는 장기요양보험요율은 5.125%입니다. 장기요양보험요율은 급여에서 정산되는 건강 보험료에서 책정되는 금액입니다. ☞★2020년 연봉 실수령액
2020년 국민연금요율은 인상없이 동결된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해당 포스팅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0년 국민연금요율 인상, 상한 되나?
2020년은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이 인상된다고 하니 이부분만 확인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산재보험료는 회사에서 전액부담을 하기 때문에 이부분은 신경을 별도로 쓰지 않으셔도 될 거 같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의료비공제대상 한도 계산법 (0) | 2019.12.08 |
---|---|
월세 소득공제 조건 신청방법 (0) | 2019.12.08 |
2020년 연봉 실수령액 (0) | 2019.12.01 |
미국구글 바로가기 (0) | 2019.12.01 |
2020년 국민연금요율 인상, 상한 되나? (1) | 2019.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