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새롭게 다가오는 새해인만큼 새해에는 연봉협상도 있을것이며 새롭게 연봉협상이 되면 과연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궁금해하실 분들이 많을것으로 예상이됩니다. 저도 실수령액이 궁금한 사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 2020년 연봉 실수령액표
2020년의 연봉을 새로 협상 하신 후에도 고려해야 할것이 바로 4대보험요율입니다. 4대보험이란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등을 포함합니다. 이런 4대보험요율이 고정적이라면 사실 2019년과 별다른바 없이 비슷하겠지만 4대보험요율이 인상됨에 따라 2020년 연봉 실수령액도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 국민연금은 동결로 알려져 있습니다. 9%로 납부하시면 되고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일이 일부분 인상되었습니다. 물론 장기요양보험도 인상이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추가로 나가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등이 총 공제금액이니 이부분을 확인하시고 아래에 있는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거 같습니다.
다음은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표로 나타낸것입니다. 연봉과 월급 그리고 4대보험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을 포함하였습니다. 산재보험은 회사에서 전액 부담하기 때문에 공제금액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 별도로 납부해야 하는 근로소득세가 있습니다. (1)2020년 국민연금요율 인상, 상한 되나?
연봉/12 = 월급 이며 월급-공제금액(4대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 총 월급 실수령액이 됩니다. 연봉은 2천만원부터 시작하였으며 1백만원 단위로 계산해보았습니다. 연봉 5천만원의 경우 실수령액은 약 353만원정도가 됩니다. 공제금액이 대략 62만원이나 됩니다. (2)2020년 건강보험요율 보험료 인상
다음은 연봉 5100만원~ 1억원까지의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표로 나타내었습니다. 연봉 1억이면 1억/12 = 약 한달에 833만원이지만 실제로 공제되는 금액이 193만원 정도라서 내손에들어오는 급여는 640만원이 된다고 합니다. 근로소득세가 대략 100만원정도가 나가니 생각보다 큰 금액이긴 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의 경우 공제액은 최대 218,000원을 넘지 않기 때문에 연봉5900만원 이상부터는 21만8천원으로 적용되어 공제되는것도 확인해보시면 좋을듯 싶네요.
지금까지 2020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아보았습니다. 다가오는 2020년 새롭게 연봉협상 하셔서 높은 연봉 받으셨으면 하네요. 물론 저도 새로이 연봉협상을 하여 더 높은 금액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세 소득공제 조건 신청방법 (0) | 2019.12.08 |
---|---|
2020년 건강보험요율 보험료 인상 (1) | 2019.12.02 |
미국구글 바로가기 (0) | 2019.12.01 |
2020년 국민연금요율 인상, 상한 되나? (1) | 2019.12.01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2) | 201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