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소유한 부동산을 타인에게 양도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소득을 양도소득세라고 합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을 편리하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제는 세무사를 찾지 않아도 대략적으로 어느정도의 세금을 내야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부동산에 대해서 규제하기 위해서 이런저런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아마 가장중요한게 양도소득세이지 않나 싶은데요.
양도소득세 계산기는 부동산 114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실 양도세 말고도 다른 다양한 세금계산을 모의계산 해볼 수 있어서 많은분들이 찾는곳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부동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곳입니다. 정보를 얻기 좋은데요.
들어가시면 편리한서비스 메뉴에 있는 부동산 계산기 아이콘이 보이실텐데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클릭하시면 맨위에 나오는것이 양도소득세인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집을 팔때 필히 발생하는 세금이기에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양도소득세 계산기를 눌러주세요.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작성해야 합니다. 본인이 판매하는 주택소재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위치가 어디인지와 전용면적 그리고 현재보유하고 있는 주택이 몇개인지를 물어보는 질문입니다. 혹 실거주를 했다면 실거주에도 체크해주세요.
다음은 취득가와 양도정보를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계산기에 해당정보를 정확하게 적으셔야 가장 비슷한 결과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최근날짜를 기준으로 2년 뒤 4억원으로 오를것을 예상하여 계산기에 정보를 남겨보았습니다.
이후에는 필요경비랑 기본공제를 해줍니다. 우선 취득할때 들어갔던 취득세와 중개보수비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유할때 들어갔던 수리비용도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양도할때 들어가는 중개보수 수수료도 공제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기본공제 250만원이 들어간 뒤 양도소득세 계산기의 계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후 결과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년뒤 4억이 되는걸 예상하고 매도하였을 경우 납부해야 하는 총 세금은 3639만원입니다. 2억 5500만원에서 4억으로 오르는것을 가정하면 1억 4500만원의 차익이 생기는데 이 중에서 세금으로 납부하는게 대략 3600만원이니 1억 천만원정도 남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처럼 납부하는 세금의 비중이 높은게 양도소득세인거 같습니다. 이상 양도소득세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은행 개인인터넷뱅킹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0.03.01 |
---|---|
기초연금 수급자격 (0) | 2020.03.01 |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0) | 2020.02.26 |
부동산 수수료율표 (0) | 2020.02.23 |
부동산 등기비용계산기 (0) | 2020.02.20 |